휘발되긴 아까운 얘기라서 대강 적어둡니다.
운영 / 기여 / 도입 주제에서는 이란 얘기가 오갔습니다.
- 개발 환경 구성 어떻게 하느냐?
- 그걸 고민하고 있다면 잘못 쓰는 것 일 수 있다
- 회사에선 잘못 쓰고 있다 고통 스럽다 ㅠ
- 오직 스케쥴러로서만 쓰고 로직은 다른데서 완성해 올 것
- airflow가 jinja로 sql 작성하는 튜토리얼이 있는데, 함정이다 안쓰는게 좋을 것.
- mwaa, clode composer 같은 풀 매니지드 서비스 vs k8s 클러스터에 직접 구성 하기 비용 절감 효과는 어느정도이며 대가는 무엇인가?
- 많이 절감 된다. 이유는 풀 매니지드 postgres 과금이 빠지기 때문
- airflow 디비는 그리 고스펙일 필요 없다.
- postgres 너무 잘 만든 디비여서 ha 없이도 운영이 잘 되었음…
- 1시간 덤프만 잘 해두어도 안전성 담보는 충분하다.
- 1분 대그에 대해
- 해로운 것. 그러면 안 됨
- dag 팩토리 메서드에 대해
- 잘 만들기 어렵다.
- 했다가 되돌린적 있다